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Gradle로 IDE없이 프로그램 실행하기 테스트를 자동화하기 위해선 테스트를 실행하는 것까지 자동화해야 수동으로 실행하지 않고 스케줄에 맞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Gradle을 이용해 Kotlin/Java에서 IDE없이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Gradle이란?Gradle은 빌드 자동화 도구로, 특히 Kotlin과 Java 같은 JVM 기반 언어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Gradle은 유연하고 강력한 의존성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Kotlin 개발에 최적화된 빌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Gradle은 여러 언어와 플랫폼을 지원하며, 스크립트는 **DSL (Domain-Specific Language)**를 통해 직관적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2. 왜 Kotlin/Java.. 2024. 9. 16.
Mobile App 초기 실행 테스트 모바일 앱 테스트를 할 때 또는 앱을 배포하고 모니터링할 때 종종 수집되는 VOC가 있다. "앱이 실행되지 않아요", "앱이 실행되고 바로 꺼져요" 등 간혹 사용자 환경 또는 서버 이슈로 인해 앱이 실행되지 않는 이슈들이 발생한다.이러한 일들이 종종 발생하여 개인적으로는 앱 실행할 때 어떤 동작들이 초기 셋팅이 되고 있는지 정리해두는 편이다. 오늘은 모바일 앱 실행 시 어떤 동작들이 수행되는지 알아보자. Native App이 실행될 때, 스플래시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처음으로 노출되는 화면입니다. 이 화면은 앱이 초기화되고 여러 작업들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의 시선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스플래시 화면이 나타나는 시간 동안 앱은 다양한 초기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는 회사나 앱.. 2024. 9. 1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API 테스트하기 지금 근무하고 있는 곳의 서버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채택하여 개발하고 있다. API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서버쪽 지식이 필요하여 블로그로 남겨두려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각 서버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은 gRPC를 사용하고 있어 어떤식으로 API테스트를 해야하는지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란?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배포되고 실행될 수 있는 작은 서비스들로 나누어 설계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개발, 테스트, 배포,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서로 다른 기술 스택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이 방식은 기존의 모놀리식 아키텍처와 대조적입니다. .. 2024. 9. 9.
Python 기초 개념 정리하기 많은 QA Engineer들이 Python을 주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 예전부터 Python을 공부해봐야지 생각은 했지만 업무적으로 쓸일이 없다보니 잠깐 보더라도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았던 것 같다. 이번 LLM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Python을 사용해야하는 상황이 오게되어 이 참에 Python 공부를 할겸 정리해볼 예정입니다. Python vs Java언어 특성언어 유형:Python: 동적 타입(Dynamically Typed) 언어로, 변수 선언 시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Python 인터프리터가 실행 중에 데이터 타입을 확인합니다.Java: 정적 타입(Statically Typed) 언어로, 모든 변수는 선언 시 명시적으로 타입을 지정해야 합니다. 컴파일 타임에 타입 체크가 이루.. 2024. 9. 2.
모바일 앱에 UI Test를 위한 식별자 추가하기 모바일 앱 자동화 테스트를 하다보면 식별자가 없어 테스트 코드 작성에 난이도가 올라가거나 xpath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모든 컴포넌트에 테스트를 위한 식별자가 있다면 좋겠지만 실무에서는 개발 일정이 빠듯하기 때문에 그때그때 식별자 추가를 요청하기도 어려운 실정입니다. QA Engineer가 직접 컴포넌트에 식별자를 추가하고 테스트 코드를 만든다면 업무 생산성을 물론 복잡한 시나리오의 테스트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OS, Android 앱에 UI 컴포넌트 식별자를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OS 식별자 추가하기iOS에서는 UI 테스트를 위한 식별자로 accessibilityIdentifier 값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ccessibilityIdentifier는 UI 요소.. 2024. 8. 26.
Appium 동작 방식 이해하기 Appium이라는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는 QA Engineer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거나 사용해 본 Tool이라고 생각됩니다. 사용해 봤다면 복잡한 동작 방식으로 인해 알 수 없는 에러들을 정말 무수히 많이 맞닥뜨렸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저 또한 정말 무수히 많은 에러들과 어려움을 맞닥뜨렸었고 그때마다 수도 없이 많은 구글링을 통해 에러를 해결해왔던 것 같습니다. 테스트 자동화를 좀 더 쉽게 디버깅하기 위해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고 이 블로그를 통해 기록하려합니다. 참고하시는 분들께서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Appium 이란?Appium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자동화 테스트를 위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iOS와 Android 플랫폼 모두에서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웹 애플리.. 2024.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