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QA Engineer로 일을 시작한지 벌써 10년째가 되었습니다. 그 동안 Web개발 기술스택이 변해오는 것을 지켜봐왔는데요. 현재는 Next.js가 대세로 자리잡은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부터는 Next.js가 탄생한 배경과 대세로 자리잡은 이유를 한번 알아보려합니다.
웹 개발의 진화
웹 개발은 지난 몇 년간 급격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초기에는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이 주를 이루었지만, AJAX의 등장으로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동적인 웹 페이지 구현이 가능해졌습니다. 이후 React, Angular, Vue와 같은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등장으로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이 대세가 되었습니다.
CSR의 한계와 SSR의 필요성
하지만 CSR 방식에도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 초기 로딩 시간이 길어짐
- 검색 엔진 최적화(SEO)의 어려움
- 자바스크립트 비활성화 시 콘텐츠 표시 불가
- 보안 취약점 발생 가능성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SR의 필요성이 다시 대두되었고, 이는 Next.js의 탄생 배경이 되었습니다.
Next.js의 탄생
Next.js는 2016년 10월 25일 GitHub에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Vercel(구 Zeit)이 개발한 이 프레임워크는 React 기반으로 SSR과 정적 웹사이트 생성 기능을 제공합니다.
Next.js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습니다:
- 설정이 필요 없는 즉시 사용 가능한 기능
- 모든 곳에 자바스크립트 배치
- 모든 기능을 자바스크립트로 작성
- 자동 코드 분할 및 서버 렌더링
- 설정 가능한 데이터 수집
- 요청 선점 및 배포 간소화
Next.js가 프론트엔드 개발의 주류로 자리잡은 이유
- SSR과 CSR의 장점 결합: Next.js는 SSR과 CSR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초기 로딩 속도 개선, SEO 최적화, 그리고 동적인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개발 생산성 향상: Next.js는 복잡한 설정 없이 바로 개발을 시작할 수 있게 해주며, 자동화된 최적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성능 최적화: 자동 코드 스플리팅, 이미지 최적화, 정적 생성(Static Generation) 등의 기능을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확장성: API 라우트 지원과 다양한 배포 옵션을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을 높입니다.
- 기업의 지원: Google, Walmart, Apple, Nike, Netflix 등 대형 기업들이 Next.js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프레임워크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 지속적인 발전: Next.js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성능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버전 13에서는 새로운 라우팅 패턴과 React Server Components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Next.js는 현대 웹 개발의 복잡성을 추상화하여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워크로, 웹 개발의 표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SEO, 성능, 개발자 경험을 모두 고려한 통합 솔루션으로서의 가치를 제공하며, 이는 Next.js가 프론트엔드 개발의 주류로 자리잡게 된 핵심 이유입니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xt.js에서의 상태관리 (0) | 2025.02.10 |
---|---|
Next.js에서 다국어 지원 (1) | 2025.02.03 |
Next.js의 렌더링 방식 비교 (SSR, SSG, CSR) (1) | 2025.01.27 |
Next.js 라우팅 시스템 (3) | 2024.12.23 |
Next.js 파일구조와 FSD (5) | 2024.12.09 |